근육통이 있을 때 많은 사람들이 파스를 사용한다. 커다란 사각형 모양부터 동그란 동전 모양까지 요즘 파스는 모양도 제각각이다. 그런데 생김새뿐만 아니라 ‘핫’과 ‘쿨’로 온도(?)가 다른 파스들도 있는데, 이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
◆ 부기 동반한 급성 손상엔 쿨파스, 만성 근육통이나 경직 부위엔 핫파스
윤소정 명동 참약사 웰니스약국 약사는 “핫파스와 쿨파스는 용도와 효과가 다르다”고 말했다. 뜨거운 핫파스는 온열 효과를 통해 근육을 이완시키고, 혈관 확장효과로 혈액순환을 촉진해 통증을 완화한다. 주로 캡사이신이나 고추 추출물 같은 열 발생 성분이 포함돼 만성적인 근육통이나 관절염, 요통, 어깨 결림 등의 증상에 효과적이다. 특히 운동 후 경직되거나 뭉친 근육을 풀어주는 데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타박상에는 핫파스가 적합하지 않아 주의해야 한다. 타박상으로 인해 멍이 생긴 부위에 핫파스를 사용하면, 혈관이 확장해 부종과 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이 때는 쿨파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쿨파스는 냉각 효과로 염증을 억제하고 통증을 감소시킨다. 또 부종을 완화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멘톨 같은 시원한 성분이 포함되어 삐었거나, 타박상, 염좌 같은 급성 손상 부위에 적합하다. 운동 직후에 발생한 통증이나 부기를 가라앉히는 것에 유용할 수 있다. 다만 냉각효과가 강하기 때문에 민감한 피부에는 긴 시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 굴곡 심하거나 빠른 효과엔 바르는 파스, 넓은 부위와 효과 오래 가려면 붙이는 파스
파스 형태도 다양하다. 크게 붙이는 것과 바르는 것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윤 약사는 “바르는 파스의 경우 손으로 직접 환부에 도포하거나 튜브에 부착된 롤을 이용해 마사지하듯 도포하는 형태 등 다양한 제형으로 출시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바르는 파스는 근육통, 관절염, 타박상 등 국소적인 통증을 완화하는 데에 효과적이며, 피부 굴곡이 심한 부위나 좁은 부위에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빠르게 흡수돼 즉각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피부에 잔여물이 남지 않아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도포 후 끈적거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효과 지속시간이 붙이는 파스에 비해 짧아 수시로 도포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바를 때 적절한 양 조절 또한 필요하다.
반면 붙이는 파스는 피부에 부착해 사용하는 형태다. 윤 약사는 “붙이는 파스는 허리, 어깨와 같이 넓은 부위의 통증을 완화할 때 추천한다”며 한 번 부착 시 장시간 효과가 지속되어 일상 생활 중에도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온열 또는 냉각 효과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도 하다. 하지만 접착제가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며, 굴곡이 많은 부위나 땀이 나는 부위에서는 부착력이 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윤 약사는 “즉각적인 효과를 원하거나 좁은 부위에 사용하는 경우 바르는 파스를, 장시간 지속적인 효과를 원하거나 넓은 부위에 사용할 경우 붙이는 파스”를 추천했다.
◆ 붙이는 파스 사용 시 주의할 점 4가지
붙이는 파스를 사용하기로 했다면 주의할 사항이 있다. 첫째로 파스를 붙이기 전, 피부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인지 확인해야 한다. 땀이나 유분 또는 물기가 있다면 접착력이 떨어지고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피부에 상처나 습진, 염증이 있다면 사용을 피해야 한다.
둘째로는 붙이는 파스를 권장 사용 시간을 초과해서 사용하면 안된다. 권장 사용 시간은 보통 8~12시간이며 동일 부위에 반복해서 사용하지도 말아야 한다. 장시간 파스를 부착할 경우 피부 자극, 발진, 가려움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만약 사용 중 가려움, 발진, 붉어짐 등 이상 반응이 나타나면 즉시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 특히 민감한 피부를 가졌다면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사용 전 피부 테스트를 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셋째는 눈 주위나 점막, 생식기 주변 같은 민감 부위에는 파스를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햇빛에 직접 노출되는 부위에 사용할 경우, 자외선에 의해 피부 자극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노출 부위에 부착할 경우 햇빛으로 인해 발진, 물집, 화끈거림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윤 약사는 “파스 성분 중 케토프로펜 성분은 광과민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사용 중 그리고 사용 후 최소 2주간 자외선 노출을 피할 것을 권장한다”고 강조했다. 파스를 제거한 후에는 피부를 미온수로 닦아내어 잔여물을 제거해 주는 것이 중요하며, 보습제를 발라 피부 자극을 완화시켜 주는 것이 좋다.
추가로 윤 약사는 “임신부와 소아는 사용 전 의사나 약사와 상담 후 사용하는 것이 좋다”며 “특히 임신부 3기에는 붙이는 파스의 성분이 태아에게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을 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윤 약사는 파스 사용에 대해 “근육통과 같은 국소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증상이 심하거나 장기간 지속될 경우엔 의사와 상담해 근본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또한 “경구소염진통제(NSAIDs)와 병용하면 부작용 위험이 증가하므로 함께 사용시 의사나 약사와 상의를 해야 한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경구소염진통제는 이부프로펜이나 나프록센 등이 포함된다.
부위에 사용할 경우, 자외선에 의해 피부 자극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노출 부위에 부착할 경우 햇빛으로 인해 발진, 물집, 화끈거림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윤 약사는 “파스 성분 중 케토프로펜 성분은 광과민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사용 중 그리고 사용 후 최소 2주간 자외선 노출을 피할 것을 권장한다”고 강조했다. 파스를 제거한 후에는 피부를 미온수로 닦아내어 잔여물을 제거해 주는 것이 중요하며, 보습제를 발라 피부 자극을 완화시켜 주는 것이 좋다.
추가로 윤 약사는 “임신부와 소아는 사용 전 의사나 약사와 상담 후 사용하는 것이 좋다”며 “특히 임신부 3기에는 붙이는 파스의 성분이 태아에게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을 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윤 약사는 파스 사용에 대해 “근육통과 같은 국소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증상이 심하거나 장기간 지속될 경우엔 의사와 상담해 근본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또한 “경구소염진통제(NSAIDs)와 병용하면 부작용 위험이 증가하므로 함께 사용시 의사나 약사와 상의를 해야 한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경구소염진통제는 이부프로펜이나 나프록센 등이 포함된다.